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4

책, 조선 명문가 독서교육법 '정약용편' 지금 준비하고 있는 논문과 수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과 연결이되어 읽기 시작한 책 '조선 명문가 독서교육법' 독서는 예나 지금이나 모두에게 필요한 영역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버지를 살리려면 독서를 해라" -정약용- "망한 집안의 아들로서 잘 처신하는 방법으느 오직 독서 한 가지밖에 없다. 너희들이 만일 독서하지 않는다면 나의 저서가 쓸모없게 된다. 나의 책이 쓸모없게 되면 나는 열흘도 못 되어 병이 날 것이다. 병이 나면 고칠 약도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너희들이 독서하는 것이 내 목숨을 살리는 일이 아니겠느냐 " 정약용은 목숨과 독서하는 것을 동일하게 생각 했던 것과 같이 독서의 중요성을 두 아들에게 훈계합니다. 정약용이 위배 생활을 하는 동안 아들을은 경제난과 어려움이 많아 독서와 학문닦는 일을 .. 2022. 10. 26.
[언해 번역 연습] 논어(論語) / 학이(學而) 11장 11장 자왈부재관기지(子曰父在觀其志) 1절 子曰자왈父在부재에觀其志관기지오父沒부몰에觀其行관기행이나 2절 三年삼년을無改於父之道무개어부지도라야可謂孝矣가위효의니라 1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버지가 살아 계실 때 자식의 뜻을 살피고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 자식의 행동을 보면 그 선악을 알 수 있다. 2절 그러나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3년 동안은 아버지가 하던 방식을 고치는 일이 없어야 孝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022. 10. 25.
[언해 번역 연습] 논어(論語) / 학이(學而) 10장 10장 자금문어자공왈(子禽問於子貢曰) 1절 子禽자금이問於子貢曰문어자공왈夫子至於是邦也부자지어시방야하사 2절 必聞其政필문기정하시나니求之與구지여아抑與之與억여지여아 3절 子貢자공이曰왈夫子부자는溫良恭儉讓以得之온량공검양이득지시니 4절 夫子之求之也부자지구지야는其諸異乎人之求之與기저이호인지구지여 1절 자금이 자공에게 물었다. “스승님께서는 어떤 나라에 도착하시면 2절 반드시 그 나라의 정치에 대해 들으시는데, 스승님이 듣기를 요구하는 것입니까, 아니면 그 나라 임금이 스스로 들려주는 것입니까?” 3절 자공이 말하였다. “스승님은 온화하고 진실되고 공손하고 절제하고 겸양하는 덕이 있어 자연히 듣게 되는 것이니, 4절 스승님이 그것을 구하는 방법은 아마도 다른 사람이 구하는 방법과는 다르다 할 것이다.” 2022. 10. 25.
[언해 번역 연습] 논어(論語) / 학이(學而) 9장 9장 증자왈신종추원(曾子曰愼終追遠) 1절 曾子曰증자왈愼終追遠신종추원이면民德민덕이歸厚矣귀후의 1절 증자가 말하였다. “윗사람이, 정성스럽게 葬禮를 치르고 제사를 지내 조상을 추모하면 백성들의 마음이 점점 후덕하게 될 것이다.” 2022. 10. 25.
[언해 번역 연습] 논어(論語) / 학이(學而) 8장 8장 자왈군자불중즉불위(子曰君子不重則不威) 1절 子曰자왈君子不重則不威군자불중즉불위니學則不固학즉불고니라主忠信주충신하며 2절 無友不如己者무우불여기자오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니라 1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중후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나니, 배워도 견고하지 못할 것이다. 최선을 다하고(忠) 진실될 것이며(信), 2절 나보다 못한 자와 벗하지 말고, 잘못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아야 한다.” 2022. 10. 25.
[언해 번역 연습] 논어(論語) / 학이(學而) 7장 7장 자하왈현현(子夏曰賢賢) 1절 子夏曰자하왈賢賢현현하되易色역색하며事父母사부모하되 2절 能竭其力능갈기력하며事君사군하되能致其身능치기신하며 3절 與朋友交여붕우교하되言而有信언이유신이면雖曰未學수왈미학이라도 4절 吾必謂之學矣오필위지학의라호리라 1절 子夏가 말하였다. “賢者를 존경할 때에는 女色 좋아하는 마음과 바꿀 정도로 하고, 부모를 섬길 때에는 2절 자기의 있는 힘을 다하며, 임금을 섬길 때에는 자기 몸을 다 바치고, 3절 친구와 사귈 때 말에 신의가 있으면, 비록 그가 배우지 못했다 하더라도 4절 나는 반드시 그를 배운 사람이라 하리라.” 출처: 한국고전종합DB 2022. 10. 25.